스트레스장애

성인클리닉

Home > 성인클리닉 > 스트레스장애

스트레스란?

내부 및 외부의 압력에 대해 적응하기 위한 각 개인의 심리적 생리적, 행동적 반응을 총칭하여 스트레스라고 합니다.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적절한 스트레스가 필요하지만 개인의 역량을 벗어나는 지나친 스트레스나 해결되지 않는 만성적인 스트레스는 다양한 증상을 일으키고, 나아가 다양한 신체 질환 및 정신 질환의 원인이 됩니다.

  

스트레스의 증상

스트레스의 증상은 크게 신체적인 반응과 심리적 반응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신체적 반응으로는 만성적인 피로, 두통, 불면증, 근육통, 두근거림, 가슴부위 통증, 복통, 구역 등이 있으며 정신적 반응으로는 집중력 저하, 기억력 감퇴, 우유부단, 우울, 불안, 초조, 분노 폭발, 과격한 행동, 폭식, 폭주 등이 있습니다. 스트레스는 자율신경계를 통하여 자율신경의 지배를 받는 기관들의 기능에 변화를 주는데, 대개는 일시적으로 가역적인 변화를 주지만 기존의 기질적 요인들과 합쳐져서 기질적 조직변화를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스트레스와 관련된 신체 질환

01
긴장성 두통, 편두통 : 두통의 가장 흔한 형태인 긴장성 두통은 근육의 만성적 긴장 때문에 생기게 되며, 스트레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혈관성 두통인 편두통 역시 스트레스에 의해서 유발되고 악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02
고혈압 및 관상동맥 질환 : 고혈압은 가족력이 있는 사람에서 잘 발생하지만, 만성적인 스트레스나 비만이 고혈압을 악화시킵니다. 일에 욕심이 많고 꼼꼼하고 경쟁적이고 공격적인 사람들에게 관상동맥 질환이 잘 생깁니다.

03
화불량, 위염, 위궤양 등 소화기 장애 :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라는 속담처럼 스트레스와 소화기 증상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흔히 소화가 잘 되지 않고 체하는 사람이 있으며, 심한 경우 만성적인 위염이나 위궤양으로 고생하기도 합니다.

04
과민성 대장 증후군 : 설사와 변비가 교대로 나타나고 아랫배가 자꾸 아픈데 검사를 받아도 이상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를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라 하는데 이 증후군은 불안, 우울 등의 감정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05
당뇨병 : 당뇨병도 유전적 소인이 중요하나 스트레스와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스트레스가 있으면 아드레날린이나 부신피질 호르몬이 분비되는데 이러한 호르몬은 혈당을 올리는 작용을 합니다. 때문에 식이요법이나 약물 치료를 하더라도 심한 스트레스가 있는 경우에는 혈당 조절이 잘 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06
암 및 기타 면역질환 : 스트레스는 신체의 면역계를 약화시켜 다양한 질환의 원인이 됩니다. 특히 스트레스는 암의 발생과 진행, 치료 성공 여부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07
천식, 아토피, 갑상선 질환 : 각종 호흡기계, 피부질환, 내분비계 질환의 발병, 악화 역시 스트레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대표적인 정신신체질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외에도 만성피로증후군, 기억력 감퇴 등이 스트레스와 관련이 높은 질환들입니다.

  

스트레스의 치료

스트레스성 신체질환의 경우 급성기에는 내과적 치료가 우선이지만, 장기적으로나, 스트레스성 질병을 예방하는 차원에서는 정신과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먼저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방법을 배워야 합니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지지 정신치료, 심층정신치료, 인지행동 치료 등의 정신치료가 도움이 되며 때에 따라서는 약물치료도 필요합니다. 이완요법, 바이오 피드백, 뉴로피드백 등의 치료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내과적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신체증상의 경우나 만성적 경과를 밟는 경우 정신과적 개입이 빠를수록 훨씬 더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