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은 ‘마음의 감기’라고 할 정도로 매우 흔하며, 쉽게 치료가 되는 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치료를 하지 않았을 경우, 많은 사회적, 직업정 장애를 가져오며, 이중 10-15%는 자살에 이르는 심각한 병이기도 합니다. 사람들은 흔히 ‘우울하다’라는 말을 많이 씁니다. 그러나 임상에서 말하는 ‘우울증’은 단순한 ‘우울한 기분’과는 다른, 질병 개념으로 구분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울증은 뇌의 신경생물학적 변화를 기반으로 한 정서, 사고, 동기, 의욕, 행동의 문제로 반드시 치료를 받아야 하는 장애입니다.
01우울한 기분 혹은 과민함
02거의 모든 활동에서 흥미, 재미, 의욕이 감소함
03입맛이 없거나 체중의 감소 (지나친 식욕의 증가 혹은 체중 증가)
04잠이 잘 오지 않음 (혹은 지나치게 잠을 많이 잠)
05초조, 불안 혹은 정신운동지체
06쉽게 피로해짐
07부적절한 죄책감 혹은 자존감 저하
08집중이 잘 되지 않고 결정을 잘 내리지 못함
09반복적인 죽음에 대한 생각, 자살 사고 혹은 자살 기도
9가지 중 5가지 이상이 2주 이상 지속 시 주요우울증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소화불량, 변비 및 설사, 두통, 목과 가슴에 뭔가 걸린 듯한 느낌, 성욕감소 등 다양한 신체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가면 우울증’의 경우 우울한 기분 없이 신체 증상만 나타나기도 합니다.
개인의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합니다. 그러나 어떤 원인이든 뇌의 신경생물학적 변화를 동반하게 되고, 그로 인해 다양한 증상들이 발생하게 됩니다.
우울증은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우울증의 치료는 약물 치료, 정신치료, 인지행동치료 등이 있으며, 우울증의 종류와 증상의 심각한 정도에 따라 치료 방법에 차이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