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

성인클리닉

Home > 성인클리닉 > 우울증

우울증이란?

우울증은 ‘마음의 감기’라고 할 정도로 매우 흔하며, 쉽게 치료가 되는 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치료를 하지 않았을 경우, 많은 사회적, 직업정 장애를 가져오며, 이중 10-15%는 자살에 이르는 심각한 병이기도 합니다. 사람들은 흔히 ‘우울하다’라는 말을 많이 씁니다. 그러나 임상에서 말하는 ‘우울증’은 단순한 ‘우울한 기분’과는 다른, 질병 개념으로 구분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울증은 뇌의 신경생물학적 변화를 기반으로 한 정서, 사고, 동기, 의욕, 행동의 문제로 반드시 치료를 받아야 하는 장애입니다.

  

우울증의 증상

01우울한 기분 혹은 과민함

02거의 모든 활동에서 흥미, 재미, 의욕이 감소함

03입맛이 없거나 체중의 감소 (지나친 식욕의 증가 혹은 체중 증가)

04잠이 잘 오지 않음 (혹은 지나치게 잠을 많이 잠)

05초조, 불안 혹은 정신운동지체

06쉽게 피로해짐

07부적절한 죄책감 혹은 자존감 저하

08집중이 잘 되지 않고 결정을 잘 내리지 못함

09반복적인 죽음에 대한 생각, 자살 사고 혹은 자살 기도

9가지 중 5가지 이상이 2주 이상 지속 시 주요우울증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소화불량, 변비 및 설사, 두통, 목과 가슴에 뭔가 걸린 듯한 느낌, 성욕감소 등 다양한 신체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가면 우울증’의 경우 우울한 기분 없이 신체 증상만 나타나기도 합니다.

  

우울증의 종류

01
증상의 정도에 따라, 주요우울증/경도우울증/감정부전장애(우울신경증)

02
증상 양상에 따라, 비전형 우울증/계절성 우울증/월결전 불쾌 증후군

03
연령, 증상 특징에 따라, 소아 청소년우울증/산후 우울증/주부 우울증/갱년기 우울증/노년기 우울증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우울증의 원인

개인의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합니다. 그러나 어떤 원인이든 뇌의 신경생물학적 변화를 동반하게 되고, 그로 인해 다양한 증상들이 발생하게 됩니다.

  

우을증의 치료

우울증은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우울증의 치료는 약물 치료, 정신치료, 인지행동치료 등이 있으며, 우울증의 종류와 증상의 심각한 정도에 따라 치료 방법에 차이가 있습니다.

  

가족과 친구들이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을까요?

01
증상의 정도에 따라, 주요우울증/경도우울증/감정부전장애(우울신경증)

02
환자의 입장에 서서 이야기를 잘 들어주고 감정을 깊이 이해하도록 노력하십시오.

03
우울한 사람을 마음이 약하다거나, 게으르다고 비난하지 마십시오. 우울증은 고혈압, 당뇨병 등과 같은 의학적인 질환입니다. 마음을 굳게 먹는다고 해결되는 병이 아닙니다.

04
취미, 운동, 종교 생활, 문화적 활동에 참여하도록 권하십시오. 단, 지나친 강요나 무리한 요구는 피하십시오. 섣부른 강요는 오히려 환자를 좌절시킬 수 있습니다.

05
혹시 자살에 대한 생각을 이야기하면 반드시 의사에게 알려 주십시오.

06
갑자기 태도를 바꿀 것을 기대하지 마십시오. 우울증이 좋아지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여유로운 마음을 가지고 환자를 격려하고 도와주면 분명히 좋아질 것입니다.